Surprise Me!

[뉴스포커스] 신규 확진 2,699명…위중증 549명 '역대 최다'

2021-11-23 0 Dailymotion

[뉴스포커스] 신규 확진 2,699명…위중증 549명 '역대 최다'<br /><br /><br />어제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,699명 발생하며 화요일 발표 확진자로는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현재 단계적 일상회복의 위험도를 전국은 높음으로, 수도권은 최고 단계인 매우 높음으로 평가하며 상황이 더 악화하면 일상회복을 중단하는 '비상계획'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백신 접종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'방역패스'를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, 오창석 시사평론가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<br /><br /> 오늘 오전 9시 반에 발표된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2,699명으로 이틀 연속 3천 명대 아래를 기록하긴 했지만 이달 들어 위중증 환자가 3주 연속 증가하고 있어 우려가 큽니다. 현재 코로나19 상황, 어떻게 분석하고 계신가요?<br /><br /> 전체 확진자의 80%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수도권 확진자가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하는데요. 감염재생산지수도 1.1이 넘다 보니 앞으로 확진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 이번 주 4천명까지도 늘어날 수 있다고 하던데, 수도권 상황은 어떤가요?<br /><br /> 정부가 지난주 코로나 위험도를 5단계로 나눠서 수도권 '중간' 전국은 '낮음'으로 발표했는데, 한 주 만에 수도권은 '매우 높음', 전국은 '높음'으로 2단계를 상향시켰습니다. 수도권의 경우 최고 단계인 매우 높음이다 보니 비상계획을 발동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드는데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동안 정부가 일상회복 후에도 5천명까지는 감당이 가능하다고 했는데, 3천 명에서부터 위험도 단계를 최고 단계로 올린 이유가 예상보다 위중증 환자가 빨리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. 위중증 환자가 갑자기 늘어나게 된 것은 고령층이 많은 요양병원이나 시설의 감염 때문이라고 보면 될까요?<br /><br /> 최근 위중증 환자가 계속 증가하다 보니 정부가 고위험군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접종 완료자에게 허용됐던 접촉면회를 잠정 중단하기로 했습니다. 요양병원의 추가접종은 어느 정도 진행됐으며, 방역 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나요?<br /><br /> 지금 가장 큰 문제가 병상인데요. 특히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이 83%가 넘었고, 서울은 85%에 달하고 있습니다. 하루 이상 대기하는 환자가 900명을 넘었다고 하는데요. 수도권 중환자 병상 문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정부가 추가 병상확보를 위해 지난 5일과 12일 두 차례나 행정명령을 통해 중환자 병상을 확보하고 나선 병상이 이번 주에나 늘어나기 시작해 400개 정도 늘릴 수 있을 거라고 하는데, 당장 있는 일반 중환자들로 인해 병원 입장에서도 무한정 중환자 병상을 늘리는 것도 어려울 것 같아요?<br /><br /> 방역당국이 어제 12세 이상 예방접종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접종 효과를 분석해서 발표했는데요. 확실히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들의 코로나 발생률과 위중증률이 훨씬 높게 나타났죠? 예방접종 후 돌파감염이 발생한다고 해서 백신이 효과가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일부 계신 것 같더라고요. 이 부분에 대한 설명 좀 자세히 해 주시죠.<br /><br /> 코로나 감염 예방에 환기가 무척 중요한데요. 최근 미세먼지 때문에 환기를 잘 못 하기도 했는데, 기온까지 영하로 뚝 떨어져 환기에 대한 경각심이 느슨해질 것 같은데, 올바른 환기법도 한번 짚어주시죠.<br /><br /> 어제부터 접종기간이 단축된 추가접종 대상자들의 사전예약과 접종이 시작됐는데요. 정부가 추가접종을 유도하기 위해 일정 시간이 지나면 '방역패스'를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. 우리나라는 백신패스 효력기간을 정하지 않았지만, 해외는 백신 유효기간이 있어서 그 이상이 되면 방역패스에 적용돼서 다중이용시설 등을 이용하지 못한다면서요?<br /><br />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중화항체량이 낮아 예방효과가 떨어졌다는 지적에 방역당국은 예방접종 효과를 중화항체가만으로 판단할 수 없다고 했는데요. 교수님은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렇다면 AZ백신이나 얀센 백신의 돌파감염 비율이 높은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18세~49세 일반 성인들에게 추가접종이 내년 상반기쯤에나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. 요양병원·시설 등 고위험군에 대한 추가접종이 좀 늦었던 것처럼 일반성인들의 추가접종도 내년 상반기면 좀 늦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어제부터 수도권 지역도 전면 등교가 시작됐습니다. 하지만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학생들의 확산세가 커지고 있어 걱정인데요. 확실히 백신 접종을 한 고1·2 연령층은 감소하는 반면, 12~15세 중심으로 감염이 증가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. 아직까지 청소년들은 백신 접종률이 매우 낮은 편인데요. 지금보다 좀 더 백신접종을 권고해야 하진 않을까요?<br /><br /> 18세 이하에도 방역패스 적용을 검토 중이라고 하는데요. 방과 후 학원을 가거나 PC방, 노래방 등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며 청소년들의 활동 범위가 굉장히 넓기 때문에 가정 내 전파 감염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청소년들의 방역패스가 필요하지 않을까요?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